새해 떡국 많이 드셨나요? ^^
올해부터는 정상적으로 제 지식과 정보를 나눠보고자 종종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우리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인터넷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엄청난 정보의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집에서도. 회사에서도. 길을 걸으면서도.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는 중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바일로 PC로 태블릿으로 수많은 정보들을 얻고 있죠...
물론, 정보외 두뇌개발이나 영상을 시청하시는 분들도 있지만요
이렇게 우리들에게 많은 정보를 주는 인터넷.
오늘은 인터넷의 역사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출처 : 네이버캐스트 '알파넷' 자료
ARPAnet은 인터넷의 전신이 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며, 미군의 최첨단 연구소를 연결한
분산관리방식의 네트워크로서 1969년에 ARPA(알파:미국국방성 고등연구계획국)에서 연구개발되어
구축 되었습니다.
다 아시다시피 이 당시에는 냉전시대로 아래와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첫번째, 네트워크의 일부 컴퓨터를 가동하지 않고도 전체적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이 기종의 컴퓨터에 접속해도 아무런 문제없이 동작이 가능합니다.
세번째, 네트워크가 끊기더라도 다른 루트를 경유하여 정보전달을 할 수가 있습니다.
ARPAnet이 지향한 것은 분산형 컴퓨터 네트워크로서 네트워크의 일부가 미사일공격 등으로 파괴가
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지장이 없는 구조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 연구로 현재의 인터넷 통신규약의 중핵을 이루는 TCP/IP가 개발되어 인터넷의 근본을 이룬
네트워크 형식의 패킷교환망이 완성되었습니다.
ARPAnet은 나중에 "학술연구용 넷"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이것이 1990년에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미국립과학재단)에 이어져서 인터넷의 기반을
이루면서 인터넷은 학술용으로 발전되었습니다.
또한 1991년에 상용 인터넷협회가 설립이 되면서 기업과 개인이 비즈니스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현재와 같은 대발전을 이루게 되었답니다.
1970년대 후반 여러 소규모 네트워크가 만들어졌으며 이중 NSFnet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ARPAnet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NSFnet은 5개의 슈퍼컴퓨터를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네트워크로서
여러대학과 연구기관들이 계속 가입하고 연결되면서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출범하게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즉, 인터넷의 전신은 미국 서해안의 4개 학교의 네트워크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후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의 주요 네트워크가 NSFnet에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전세계 네트워크가
구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연결에 필요한 공통적인 규약이 미흡하였고
주로 유닉스(Unix)환경에서 텍스트 위주의 명령어들로 인터넷이 사용되다보니 사용하기가 무척 불편하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는 여전히 연구기관이나 대학 등이어서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인터넷 발전사 - history -
1960's 미국방성에서 ARPAnet을 구축
1972's E-mail 프로그램 개발, Telnet 표준안 확정 발표
1973's FTP 표준안 확정 발표
1977's E-mail 표준안 확정 발표
1979's Usenet 서비스 시작
1982's TCP/IP 도입
1983's ARPAnet을 MILnet(군사용)과 ARPnet(연구용)으로 분리하면서 인터넷의 시작을 알림
1984's DNS(Domain Name System) 제시
1986's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개발
1988's IRC(Internet Relay Chat) 개발
1989's 스위스의 '팀 버너스리'가 WWW(World Wide Web) 개발 제안
1990's ARPAnet 폐지. Archie 서비스 시작. ARPAnet 역할은 NSFnet으로 이관
1991's WAIS(Wide Area Information Service) 서비스 시작, Gopher 서비스 시작
1992's WWW 서비스 시작, Veronica 서비스 시작
1993's InterNIC(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창설, NSCA의 '마크 앤드리슨' "모자이크" 발표
1994's "모자이크"만든 '마크 앤드리슨'과 SGI 사장 '짐 클라크'가 새로운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발표
1995's 인터넷 수요 급증으로인해 NSFnet Backbone이 사라지고 상용 Backbone 등장
우리나라의 인터넷 발전과정에 대한 발전사를 한 번 살펴보죠.
1982's 서울대학교와 KIET 간의 TCP/IP로 SDN을 시작
1983's 미국으로 UUCP 다이얼업 연결. 한국과학기술원에 네트워크 운영센터 설치
정보산업육성위원회, 국가 5대 기간전산망 구축계획 확정
1984's 유럽으로 X.25 회선을 이용한 UUCP 연결
1985's X.400 메일 서비스
전자통신연구소에 유럽 MHS Net의 Gateway 설치
1987's 교육연구전산망 추진위원회 구성
1988's 전산망조정위원회, 연구전산망 기본계획 확정. 교육망이 BITNET으로 연결
1990's HANA/SDN이 인터넷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교육전산망 협의회 구성
1991's 연구전산망이 인터넷으로 56Kbps 전용선 연결. 학술전산망 협의회(ANC) 구성
1992's 한국통신연구개발단에서 HANA/SDN 운영.
교육전산망, BITNET와 Mail Gateway 구축
1993's HANA/SDN 해외접속망 56Kbps -> 256Kbps 확장. 일반인계정 추가확장
1994's 상용서비스(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시작
1995's 본격적인 인터넷 접속 서비스회사인 INET의 탄생.
SL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서비스 시작
NOWCOM, Hitel 등을 통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시작.
인터넷에는 PC통신처럼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이되는 호스트 컴퓨터도 없을뿐더러 이를 관리하는
조직도 없습니다.
인터넷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ISOC(Internet Society)가 있지만 인터넷망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는 아닙니다.
물론, 총괄적으로 관리하지는 않지만 인터넷상의 어떤 컴퓨터 또는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통신망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실제의 관리와 접속은 세계 각지에서 분산적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인터넷은 전화망에 버금가는 거대한 세계적 정보기반이 되었으며 통신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검색(Gopher), 인터넷 대화/ 토론(IRC), 전자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열람(WWW),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대로 개발되어 이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은 전용선에 의한 IP접속과 전화 회선을 이용한 다이얼 업IP 접속이 있습니다.
현재는 모뎀방식의 LAN방식을 이용하여 접속하는게 보편화 되었답니다. (FTTH, Ntopia 등)
인터넷 사용자는 각국의 통신망 정보센터(NIC)에서 할당하는 IP주소와 인터넷에 연결하는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에 가입을 해야 합니다.(KT, SKB, LG U+... 등)
국내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IP주소의 지정 및 도메인 등록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1994년 한국통신이 최초로 인터넷 상용서비스(KORNET)을 개시한 이래 많은 수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자(ISP)가 생겨나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상용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100M 인터넷을 뛰어넘어 기가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시대인 셈이죠. ^^
우리들이 편리하게 사용하는 인터넷. 이래서 우리가 사용하는 거구나 하는 정도로만 알아두세요~
다음에는 또 다른 이야기거리를 들고 찾아뵙겠습니다.
To Be Continue...